산업기술

thumbimg

미생물의 플라스틱 분해 메카니즘에 관여하는 후보 효소와 대사경로 규명
안조영 기자 2022.01.26
폴리에틸렌 분해 연구 모식도/전남대학교 제공전남대학교 염수진·윤철호 생명과학기술학부 교수팀이 미생물의 플라스틱(폴리에틸렌) 분해 메카니즘에 관여하는 후보 효소와 대사경로를 규명했다.폴리에틸렌 분해 기작과 함께 플라스틱 분해의 주요 효 ...

thumbimg

성균관대학교 김상우 교수 연구팀, 생분해성 마찰전기 발전기 세계 최초 개발
이재철 기자 2022.01.24
김상우 신소재공학부 교수/성균관대학교제공성균관대학교 김상우 신소재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초음파 자극 체내 생분해성 마찰전기 발전기를 세계 최초 개발했다.인체 삽입된 전자약 등의 의료기기는 신경을 자극하여 통증, 우울증 등의 병증을 단기 ...

thumbimg

모듈 형태로 크기 키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최고 효율 기록 경신
이재철 기자 2022.01.18
25cm2 대면적 모듈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와 효율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양창덕 교수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김동석·이찬우 책임연구원 공동 연구팀이 모듈 형태로 크기를 키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최고 효율 기록 ...

thumbimg

PVT 기술 접목 전기와 열 생산하는 다기능 방음벽 개발
안조영 기자 2022.01.1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열변환시스템 연구실 강은철 박사팀이 전기와 열을 생산할 수 있는 다기능 방음벽 기술을 개발했다.태양광 패널과 태양열 집열기, 흡음재 등을 활용해 차음과 흡음에 의한 방음 성능을 향상시킨PVT ...

thumbimg

주행거리 800㎞까지 늘릴 수 있는 세계 최고 성능 전고체배터리 제작 성공
이재철 기자 2022.01.13
엘라스토머 기반의 고체전해질/KAIST 제공한국과학기술원(KAIST) 김범준 교수팀과 미국 조지아공대 이승우 교수팀이 엘라스토머 고분자 전해질을 개발해 주행거리를 800㎞까지 늘릴 수 있는 세계 최고 성능의 전고체배터리를 제작했다. ...

thumbimg

고전압 전기설비 문 열지 않고 안전하게 확인하는 ‘무선 통전 알림 기술’ 세계 최초 개발
안조영 기자 2022.01.10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 무선 통전 알림 장비/한국전기연구원 제공한국전기연구원(KERI) 배준한 박사팀이 위험한 고전압 전기설비의 내부 통전 여부를 문을 열지 않고 외부에서 안전하게 확인할 수 있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 무선 통전 알림 ...

thumbimg

자동차 내장재와 화장품·의약품 기초 원료를 유해물질 배출 없이 생산
이재철 기자 2022.01.10
광촉매, 전기촉매, 불균일촉매 융합 시스템의 산화프로필렌 생산법/UNIST 제공UNIST(울산과학기술원) 에너지화학공학과 곽자훈·장지욱, 화학과 주상훈 교수연구팀이 고부가가치 석유화학 원료인 산화프로필렌을 유해물질 배출 없이 태양광 ...

thumbimg

성균관대 김지용 교수 연구팀, 탄소중립 위한 ‘최적 탄소 자원화 경로’ 규명
이재철 기자 2022.01.05
최적 탄소 자원화 경로 분석도/성균관대 제공김지용 성균관대 화학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탄소중립을 위한 ‘최적 탄소 자원화 경로’를 규명했다.실질적인 배출량이 0이 되는 탄소 중립은 탄소를 이용해 에너지를 재생산하는 탄소자원화 전략 기술 ...

thumbimg

수전해 기술 선진 5개 특허청(IP5) 특허출원에서 국내 다출원 업체 2개 불과
정두수 기자 2021.12.20
수전해 기술IP5특허출원 현황/특허청 제공수전해 기술에 대한 한국, 미국, 일본, 중국, EU 등 선진 5개 특허청(IP5) 특허출원에서 국내 다출원 업체가 2개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다만 고분자전해질 기술 출원의 비율은 상대적으 ...

thumbimg

투명한 에너지 기술 기반한 도심형 에너지 순환시스템 개발
이재철 기자 2021.12.03
도심형 에너지 순환시스템 개념도/인천대 제공인천대학교 차세대 에너지 융합연구소(소장 김준동 교수) 연구팀이 투명한 에너지 기술을 기반으로 한 ‘신개념 도심형 에너지 순환 시스템’을 개발했다.이번 시스템은 무한히 이용 가능한 태양빛으로 ...

thumbimg

그린수소 생산하는 직접해수전해 성능과 안정성 높일 수 있는 기술 최초로 개발
이재철 기자 2021.11.24
해수 산성화를 통해 무기침전물 형성이 크게 억제돼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바닷물의 모습/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해양융복합연구팀 한지형 박사 연구팀이 바닷물을 바로 전해액으로 사용해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직접해수 ...

thumbimg

국내 연구진이 만든 인공 태양 KSTAR, 1억도 초고온 플라스마 운전 30초 유지 성공
안조영 기자 2021.11.22
인공태양 KSTAR 장치/핵융합에너지연구원 제공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KSTAR 연구본부는 “올해 KSTAR 플라스마 실험에서 핵융합 핵심 조건인 1억도 초고온 플라스마 운전을 30초간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고 22일 밝혔다.국내 연구 ...

thumbimg

수전해 시스템 효율 높이는 나노 구조 기반의 촉매 공정 기술 개발
이재철 기자 2021.11.15
저효율 벌크 코발트 산화물의 황화수소 열처리 과정을 통한 고효율 촉매 전화 공정 모식도/경기도 제공한양대학교 에리카(ERICA) 화학분자공학과 방진호 교수팀이 수전해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는 나노 구조 기반의 촉매 소재 적용의 가능성이 ...

thumbimg

소재 내부 산소 결함 제어 이용 열에너지 전달 효율 크게 높인 기술 개발
안조영 기자 2021.11.12
‘어드밴스드 엔지니어링 머티어리얼스’ 10월호한국세라믹기술원 도환수 박사 연구팀이 소재 내부의 산소 결함 제어를 이용해 열에너지 전달의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현재 방열소재의 열물성은 매우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 ...

thumbimg

일산화질소를 수소 저장체인 암모니아로 전환하는 기술 개발
안조영 기자 2021.11.10
질소산화물을 암모니아로 생성시키는 모식도/GIST 제공주종훈 광주과학기술원(GIST) 지구·환경공학부 교수 연구팀과 윤형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박사팀 공동으로 일산화질소를 수소의 저장체인 암모니아로 전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연구팀은 ...

thumbimg

세계 최초로 물이 수산화칼슘의 층상구조 속 투입 후 탄산화 반응 빠르게 한다는 것 밝혀내
이재철 기자 2021.11.08
물 삽입에 의한 수산화칼슘의 팽창과정 모식도/KBSI 제공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한옥희 서울서부센터 박사 연구팀이 물이 수산화칼슘의 층상구조 속으로 투입돼 탄산화 반응을 빠르게 한다는 것을 밝혀냈다.투입된 물의 양 측정도 성 ...

thumbimg

UNIST 석상일 특훈 교수팀, 세계 최고 효율인 25.8%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개발
이재철 기자 2021.10.21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광활성층과 전자전달층간의 중간층 형성의 이론적 시뮬레이션/UNIST 제공울산과학기술원(UNIST) 석상일 에너지화학공학과 특훈 교수 연구팀이 논문으로 공식 보고된 세계 최고 효율인 25.8%의 페로브스카이트 태 ...

thumbimg

소프트 로봇과 착용형 웨어러블 기기 등 적용될 유연한 뱀 비늘 배터리 개발
이재철 기자 2021.09.28
연구팀이 개발한 신축성 뱀 비늘형 배터리/한국기계연구원 제공뱀의 비늘처럼 부드럽게 휘어지고 늘어나 소프트 로봇이나 착용형 웨어러블 기기 등에 적용할 수 있는 배터리가 개발됐다.한국기계연구원 나노역학장비연구실의 장봉균 선임연구원, 현승 ...

thumbimg

상온인 25℃에서 빠른 속도 충전과 수명이 긴 전고체 배터리 기술 개발
이재철 기자 2021.09.24
연구팀이 개발한 마이크로 실리콘 음극재/LG에너지솔루션 제공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 샌디에이고대(UCSD)와의 공동 연구로 상온인 25℃에서도 빠른 속도의 충전과 수명이 긴 전고체 배터리 기술을 개발했다.온도에 민감해 60℃ 이상의 고 ...

thumbimg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세계 최초 500㎾ 급속충전기까지 검사할 수 있는 표준기술 개발
안조영 기자 2021.09.14
이번에 개발한 대전류 직류전력량 표준/표준과학연구원 제공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세계 최초로 전기차 충전에 사용되는 500㎾ 급속충전기까지 검사할 수 있는 표준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기술은 전기차 급속충전기 계량오차 감소, 충전요금 오류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HEADLINE NEWS

에너지

+

IT·전자

+

환경·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