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경제보복, 국제법적대응 46% > 경제보복 맞대응 24%"

이가영 / 기사승인 : 2019-07-04 09:55:27
  • -
  • +
  • 인쇄

▲제공=리얼미터

국민 10명 중 4명 이상이 일본의 경제보복에 대해 우리 정부의 현 대응 방향인 WTO 등 국제법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수출입 규제 등 경제보복으로 맞대응해야 한다는 입장과 우리 정부가 일부 양보하여 외교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은 모두 10명 중 2명가량으로 국제법적 대응 여론에 미치지 못했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tbs 의뢰로 일본의 경제보복과 관련 국민여론을 조사한 결과, 'WTO 제소 등 국제법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국제법적 대응)는 응답이 45.5%로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이어 '수출입 규제 등 경제보복으로 맞대응해야 한다'(경제보복 맞대응)는 응답(24.4%)과 '한국이 일부 양보하여 외교적으로 해결해야 한다'(외교적 해결)는 응답(22.0%)은 20%대로 비슷했다. '모름/무응답'은 8.1%다.

 

세부적으로 모든 연령층, 서울과 경기·인천, 호남, 진보층과 중도층, 민주당 지지층과 무당층 등 대부분의 계층에서 '국제법적 대응' 응답이 다수인 가운데, 한국당 지지층에서는 '외교적 해결'이 가장 많았다. 

 

또 충청권과 부산·울산·경남(PK), 정의당 지지층에서는 '경제보복 맞대응'과 '국제법적 대응'이, 대구·경북(TK)과 보수층에서는 '외교적 해결'과 '국제법적 대응'이 팽팽하게 엇갈렸다.

 

'국제법적 대응'은 더불어민주당 지지층(국제법적 대응 62.3% vs 경제보복 맞대응 26.1% vs 외교적 해결 5.7%)과 진보층(56.4% vs 29.7% vs 9.6%), 광주·전라(54.9% vs 21.6% vs 13.4%)에서 10명 중 6명 전후로 대다수였다. 

 

또 무당층(39.1% vs 25.0% vs 18.9%), 중도층(47.2% vs 26.2% vs 22.6%), 경기·인천(50.9% vs 26.4% vs 18.4%)과 서울(49.5% vs 16.7% vs 21.3%), 30대(52.8% vs 33.2% vs 11.1%)와 20대(50.5% vs 21.8% vs 17.8%), 40대(45.2% vs 27.8% vs 19.3%), 60대 이상(44.4% vs 18.6% vs 28.6%), 50대(36.9% vs 23.6% vs 28.7%)에서도 '국제법적 대응'이 '경제보복 맞대응'이나 '외교적 해결'보다 많았다.

 

'경제보복 맞대응'은 자유한국당 지지층(국제법적 대응 29.0% vs 경제보복 맞대응 17.0% vs 외교적 해결 47.3%)에서 다수였다.

 

한편, 대전·세종·충청(국제법적 대응 39.9% vs 경제보복 맞대응 36.9% vs 외교적 해결 17.9%)과 부산·울산·경남(34.2% vs 29.2% vs 26.6%), 정의당 지지층(39.7% vs 43.7% vs 7.6%)에서는 '경제보복 맞대응'과 '국제법적 대응'이, 대구·경북(41.4% vs 10.9% vs 40.7%)과 보수층(38.1% vs 16.3% vs 38.5%)에서는 '외교적 해결'과 '국제법적 대응'이 팽팽했다.

 

이번 조사는 3일 전국 19세 이상 성인 1만627명에게 접촉해 최종 504명이 응답을 완료, 4.7%의 응답률을 나타냈다. 통계보정은 2019년 1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 연령, 권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으로 이루어졌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p이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뉴스댓글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HEADLINE NEWS

에너지

+

IT·전자

+

환경·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