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공=국토연구원 |
2기 신도시 주민들의 소득 대비 생활교통비 부담이 1기 신도시 주민보다 2배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13일 국토연구원의 '지역별 생활교통비용 추정 및 격차 해소 방안'에 따르면 경기도 46개 시·군·구 중 소득 대비 생활교통 점유율이 가장 낮은 곳은 성남시 분당구(4.6%)로 조사됐다.
이는 경기도 평균 9%의 절반 수준이다. 분당을 포함해 수도권 1기 신도시인 군포·안양 동안구(4.9%), 용인수지구(5.2%) 등도 낮은 수준으로 집계됐다. 고양시 일산서구와 동구는 6% 수준이다.
반면 2기 신도시인 남양주(10%), 화성(11%), 광주(12%) 등 2기 신도시들은 10%를 초과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수집된 이동통신사 이용자의 이동 정보, 포털사이트 길찾기 정보 등 빅데이터가 분석에 활용됐다. 생활교통비는 생활 통행 중 읍면동 단위 도착지까지 이동하는 데 소요되는 유류비·대중교통 요금·시간가치 등 직간접 비용을 모두 더한 값이다.
분석 결과 경기도 560개 읍·면·동 소재 가구의 월평균 생활교통비용은 33만원으로 집계됐다. 월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9%다.
구체적으로 읍·면·동 소득대비 생활교통비 비율을 경기도 시·군·구 단위로 나눠보면 가평군이 20%로 가장 높았고 연천군 19%, 포천군 18%, 여주시 16%, 이천시 13%, 용인시 처인구 13%, 안성시 13%, 파주시 12%, 광주시 12%, 화성시 11%, 남양주시 10%, 평택시 10% 등이다.
반면 성남시 분당구 4.6%, 군포시 4.9%, 안양시 동안구 4.9%, 용인 수지구 5.2%, 수원시 권선구 6%, 고양시 일산서구·동구 6% 등으로 집계됐다.
월평균 생활교통비는 지역별로 큰 편차를 보였다. 우선 경기 동부 시·군·구와 광주·남양주·양평군·포천시 등이 50만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수도권 북부(경기 북부 시·군·구, 가평군·동두천·양주·연천군·파주시 등)는 44만원 △수도권 남부2(경기 남부 중 인구밀도가 낮고 도시철도망 부족지역, 안성·여주·오산·이천·평택·화성 등)가 42만원이었다.
반면 △서울 북부지역과 형정경계가 겹치는 시구인 고양·김포·의정부 등은 30만원 △경기 남부 중 인구밀도가 높고 도시철도망 발달지역인 군포·시흥·수원·안산·용인·의왕시 등은 30만원 △서울 남부지역과 행정경계가 겹치는 부천·성남·안양·과천·구리·하남·광명시 등은 23만으로 집계됐다.
국토연구원은 "교통개선대책 수립 기준 이하 지역들의 경우 일반적으로 평균보다 생활교통비용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중소규모 택지개발 사례에서 계획단계부터 종합적 광역교통 대책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