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전압도 63.9% 낮아져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 활용도 높아져
[에너지단열경제]안조영 기자
강정구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왼쪽)와 최경민 숙명여대 교수(오른쪽). /KAIST 제공
강정구 한국과학기술원(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와 최경민 숙명여대 화공생명공학부 교수 공동 연구팀은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고 있는 리튬-공기 배터리용 에너지 저장 전극 촉매를 개발했다.
이로써 리튬-공기 배터리의 짧은 수명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됐다.
리튬-공기 배터리는 기존의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10배 높은 에너지 밀도를 구현할 수 있어 차세대 전기차용 배터리로 인정받고 있다.
공기 중의 산소를 이용해 충전하는 방식으로 친환경적이며 가볍다는 장점도 지니고 있다.
다만 배터리 구동 시 과전압이 발생해 수명이 짧아진다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연구팀은 신소재 금속유기구조체(MOFs)를 이용해 1나노(nm) 이하의 원자 크기 촉매 개발에 성공했다.
MOFs는 1g만으로도 축구장 크기의 넓은 표면적을 갖는다.
연구팀은 MOFs가 가진 원자 크기의 기공들 안에서 만들어지는 코발트 수산화물을 이용하면 리튬-공기 배터리의 수명을 크게 개선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이 촉매를 넣어 배터리에 구동한 결과 과전압이 63.9% 낮아지고, 수명이 3배 늘어남을 확인했다.
강 교수는 "금속유기구조체 기공 내에서 원자 수준의 촉매 소재를 동시에 생성하고 안정화하는 기술은 금속유기구조체 종류에 따라 다양화가 가능하다"며 "다양한 소재 개발로 확장할 수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재료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에 5월 6일자로 게재됐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