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기술혁신 추진전략-10대 핵심기술 개발방향’ 보고서 발간

정두수 기자 / 기사승인 : 2021-09-12 13:39:22
  • -
  • +
  • 인쇄

탄소중립 10대 핵심기술 개발방향 요약/과기정통부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탄소중립 기술혁신 추진전략-10대 핵심기술 개발방향’ 보고서를 발간했다.
주요 내용은 정부가 올해 3월 발표한 ‘탄소중립 기술혁신 추진전략’ 내 탄소중립 10대 핵심기술과 관련된 것으로 2050년까지의 구체적인 기술별 목표 및 중점기술 개발 방향 등이다.
산·학·연 전문가 88명이 참여해 탄소중립 10대 핵심기술별로 현황과 이슈를 분석하고, 현장의 수요를 최대한 반영한 기술개발 방향성 및 정책·제도적 지원방향 등을 담았다.
구체적으로는 탄소중립 선언 배경 및 국내외 정책‧시장‧산업 현황, 탄소중립 기술혁신 추진전략 추진배경과 10대 핵심기술의 주요내용을 요약하여 소개했다.
탄소중립 10대 핵심기술은 ▲태양광풍력 ▲수소 ▲바이오에너지 ▲철강시멘트 ▲석유화학 ▲산업공정 고도화 ▲수송효율 ▲건물효율 ▲디지털화 ▲이산화탄소포집저장활용(CCUS) 등이다.
또 10대 기술별로 국내외 현황, 핵심기술, 비전‧목표 및 세부기술별 추진전략을 담았다.
세부적으로 ▲총괄 ▲에너지 전환(태양광, 풍력, 수소, 바이오에너지) ▲산업 저탄소화(철강‧시멘트, 석유화학, 산업공정 고도화, CCUS) ▲에너지 효율(수송효율, 건물효율, 디지털화) 등으로 나눴다.
탄소중립 기술개발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탄소중립 선언 배경 및 국내외 정책시장산업 현황을 제공했다.
탄소중립 기술혁신 추진전략의 추진배경과 10대 핵심기술의 주요내용도 요약했다.
탈탄소 친환경 에너지 전환의 핵심기술인 태양광, 풍력, 수소, 바이오에너지 분야의 국내외 현황, 핵심기술, 비전목표 및 세부기술별 추진전략도 담았다.
여기에 탄소집약적 구조를 가지는 국내 산업을 저탄소 산업구조로 전환하기 위한 핵심기술인 철강시멘트, 석유화학, 산업공정 고도화, CCUS 분야의 국내외 현황, 핵심기술, 비전목표 및 세부기술별 추진전략도 소개했다.
발간된 보고서는 정부부처, 공공기관 등에 배포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뉴스댓글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HEADLINE NEWS

에너지

+

IT·전자

+

환경·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