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단열경제]정두수 기자
전북지역 환경단체와 시민들이 새만금 수질 개선사업을 실패작으로 규정하고 12일 감사원에 환경부를 상대로 한 공익감사를 청구했다.
한승우 전북녹색연합 새만금살리기 위원장 등 360명은 이날 오전 11시 새만금 수질개선사업이 생태계에 미친 악영향 등을 내용으로 한 감사 청구서를 감사원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감사 청구를 낸 이들은 청구서에서 새만금호와 그 유역의 수질 개선을 위해 천문학적인 예산을 투입한 정부와 전북도의 노력이 헛된 것이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청구이유서를 통해 “현재 6등급 수준의 새만금호 수질은 정부의 사업이 실패했음을 명백히 보여주는 것”이라며 “우리나라의 강과 호수, 바다를 건강하고 깨끗하게 보전해야 할 정부가 장기간 새만금호를 죽음의 호수로 방치하는 것은 결코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또 “맹목적인 새만금호 담수화 고집과 불필요한 사업으로 인한 예산 낭비를 막고 수질과 생태계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며 “이에 수질 개선 사업에 대한 철저한 감사를 통해 새만금 사업 전반을 바로잡아 달라”고 요구했다.
정부는 2001∼2010년 1조4568억원을 투입해 1단계 수질 개선 종합대책을 마쳤고, 2011∼2020년 2단계 수질 개선 종합대책을 추진하면서 2018년 말까지 전체 예산의 89%인 2조6253억원을 쏟아 부었다.
그러나 녹색연합 등 환경단체가 측정한 결과에 따르면, 최근 새만금호 13개 지점의 수질 평균값은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기준으로 9.7㎎/ℓ를 기록했다. 공업용수로도 사용하기 힘든 수질 6등급(10㎎/ℓ 초과)에 육박한 것이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