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자동차 가격 대폭 인하할 수 있는 ‘배터리 빌려 쓰는 서비스’ 시범 사업으로 추진

정두수 기자 / 기사승인 : 2021-07-08 17:59:07
  • -
  • +
  • 인쇄
‘K-배터리 발전 전략’ 정부 발표, 2030년 이차전지 매출액 166조원 달성 위한 대규모 지원키로


전기 자동차의 가격을 대폭 떨어뜨릴 수 있는 이차전지의 소비자 대여 방식이 본격화 된다.
또 이차전지 핵심기술을 국가전략기술로 선정해 R&D에 최대 40~50%, 시설투자에 최대 20% 세액공제 등 세제지원도 강화된다.
정부는 8일 LG에너지솔루션 오창 제2공장 부지에서 배터리 1등 국가 도약을 위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K-배터리 발전 전략’을 발표했다.
먼저 현재 전기차에 장착되는 이차전지를 차량과 구분해 ‘빌려 쓰는 서비스’를 올해부터 내년에 걸쳐 시범 사업으로 추진한다.
차량 가격에서 40% 가량 차지하는 이차전지의 가격을 빼고 판매하며 이차전지는 소비자에게 대여하는 방식이다.
우선 2~3년 내 이차전지 교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는 택시·버스를 대상으로 전기차 이차전지 대여 모델의 사업성을 검증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2030년까지 이차전지 산업 매출액 166조원을 달성하기 위한 대규모 지원에도 나선다.
1등 기술력 확보를 위해 2030년까지 ‘전지 3사’와 소·부·장 기업 등 민간에서 40조6000억 원을 투자하며 정부는 대규모 R&D 예타 등 기술선점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또 이차전지 핵심기술을 국가전략기술로 선정해 R&D에 최대 40~50%, 시설투자에 최대 20% 세액공제 등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글로벌 이차전지 R&D 허브와 선도 제조기지(Mother factory), 핵심 소부장 공급기지로 구축하겠다는 목표다.
2025년까지 리튬황전지, 2027년 전고체전지, 2028년 리튬금속전지 등 차세대 이차전지 상용화를 추진하고 이에 필요한 소부장 핵심 기술도 확보키로 했다.
올 2월 지정된 소부장 특화단지를 중심으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고 배터리 3사와 정부가 공동 출연하는 800억원의 혁신펀드, 국가전략기술 지정을 통한 세액공제, 개정 유턴법에 따른 인센티브 등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사용 후 이차전지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이 분야의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방안도 마련됐다.
내년부터 정부가 지원금 등을 통해 확보한 전기차 폐배터리의 시장 방출을 시작하고 사용후 이차전지 회수→수집·운반→보관→ 매각→성능평가→활용 및 제품화까지의 전 과정의 산업 육성에 나선다.
올해 중 수도권(경기 시흥), 영남권(대구 달서), 호남권(전북 정읍), 충청권(충남 홍성) 등 전국 4개 권역에 거점수거센터를 구축하고 이차전지 운송, 보관 등에 관한 기준을 마련한다.
문승욱 산업부 장관은 “반도체가 우리 몸의 머리 같은 존재라면, 배터리는 동력의 원천인 심장”이라며 “반도체에 버금가는 또 하나의 주력산업으로 키워 가기 위해 정부가 전 방위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뉴스댓글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HEADLINE NEWS

에너지

+

IT·전자

+

환경·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