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원전업체 장기 지원방안 마련

김경석 / 기사승인 : 2019-04-02 18:13:58
  • -
  • +
  • 인쇄
유지보수·해체사업 중심…2030년까지 로드맵 제시

 

[에너지단열경제]김경석 기자= 에너지전환정책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원전 기자재 업체들이 원전 유지보수와 해체를 통해 일감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돕는 지원책이 마련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일 한국원자력산업회의에서 원전기업 및 협력업체들과 간담회를 갖고 원전산업 생태계 유지를 위한 지원방안을 제시했다. 

 

정부 지원은 원전 신규 건설이 안 돼 물량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 원전 기자재업체들이 원전 안전성 강화를 위한 유지·보수와 원전 해체 작업을 통해 계속 일감을 확보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정부는 기업들이 장기적으로 일감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가동 원전에 대한 안전투자 확대 로드맵(2019∼2030)을 수립했다. 

 

이에 따라 한국수력원자력은 오는 2030년까지 약 1조7천억원 이상의 설비보강과 예비품 발주 등을 추진한다. 

 

특히 원전 기업들의 예측 가능한 사업운영을 위해 매년 1월에 향후 10년간의 설비투자 계획을 한수원 전자상거래 홈페이지에 공개하기로 했다. 

 

한수원 납품과 수출에 필요한 국내·외 인증을 얻거나 유지하는데 소요되는 비용 지원도 대폭 늘린다. 

 

실제 한수원은 지난 1일 한국원자력산업회의와 ‘중소기업 품질시스템 구축 지원 사업’에 대한 협약을 갱신하면서 기존의 지원 상한액을 없애고, 품질인증 취득에 소요되는 비용 전액을 지원키로 했다. 

 

 

아울러 보조기기와 예비품 등 기자재를 생산하는 중소·협력업체들의 독자적 해외 진출을 돕기 위해 중국, 러시아 등 해외인증까지 지원범위를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또한 정부가 미래 원전산업의 먹거리로 제시한 원전 해체사업에 진출하기를 희망하는 업체들에는 고리1호기 해체공정 정보를 오는 12월까지 공개할 예정이다. 

 

자금난을 겪는 원전 기자재 업체들을 위해 선급금 지급 확대 등 금융지원도 확대한다. 이를 위해 올 하반기 혁신성장펀드를 500억원 이상 규모로 조성하고 원전 매출 비중이 높은 기업과 해체·소형원전 등 신규분야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에 투자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에너지전환 시대의 원자력 연구개발에 대한 중장기 이행방안을 다음달까지 수립하고, 한수원 R&D 예산을 향후 5년간 70% 이상 확대해 연평균 1천415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이 밖에 신고리 5·6호기에 적용되는 주요 원자로 설비의 예비품에 대해 발주일정을 당초 계획보다 2년 앞당기기로 했다. 

 

산업부 주영준 에너지자원실장은 “원전의 안전 운영에 필요한 산업 생태계를 유지하려는 정부의 의지가 확고하다”면서 “주기적으로 원전기업의 실태를 조사하고 애로사항을 파악해 어려움이 없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뉴스댓글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HEADLINE NEWS

에너지

+

IT·전자

+

환경·정책

+